요즘 다이어트에 관심이 많고 그 중에 보이차가 대중들에게 많이 알려졌습니다. 오늘은 보이차에 대해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보이차는 중국 현지는 물론 우리나라 차인들 사이에서도 가장 큰 인기를 끌고있는 차라고 할 수 있습니다. 오래 묵을수록 맛이나 향, 약효가 더 뛰어난 차로 알려져 오래된 차들은 엄청나게 비싼 가격으로 판매되고 있습니다. 중국 현지에서도 다이어트와 항암에 효과가 있따는 얘기가 널리 퍼지면서 최근 몇 년 사이에 그야말로 보이차 열풍이 불었습니다.
하지만 보이차에 관한 이론은 아직 완전하게 정립되어 있는것은 아닙니다. 보이차에 관련된 용어조차 그 뜻이 정확하지 않고 아예 바뀌어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정확한 얘기는 하기 어려운 실정입니다. 먼저 보이차에 관한 몇가지 역사와 정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많이 알려진대로 '보이' 는 명.청 시기에 지금의 서쌍판납 및 사모 지역을 관장하던 행정 소재지 명칭입니다. 운남성 남부를 관할하던 이 행정 소재지에 당시의 운남산 차들이 모여들었기 때문에 보이차라는 명칭이 생겨나게 되었습니다. 최근 보이차의 인기가 폭발하면서 중국 정부는 기존의 사모시를 보이시로 개명했습니다. 현재 우리가 알고 있는 모습의 보이차는 하니족을 비롯한 운남성 남부지역의 소수민족들이 만들어낸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럼 과연 어떤 차를 보이차라고 말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중국 정부는 보이차를 '운남성에서 생산된 대엽종의 찻잎을 쇄청건조시킨 모차를 원료로 하여 발효시킨 산차, 혹은 긴압차'로 정의하고 있습니다. 이 정의를 참고하여 어떤 차인지 알아보겠습니다.
우선 보이차는 완성된 모양에 따라 산차와 긴압차로 구분합니다. 산차란 찻잎을 뭉치지 않고 우리가 흔히 보는 잎녹차의 찻잎 형태로 그냥 흩어놓은 차를 말합니다. 긴압차란 찻잎을 공 모양이나 벽돌 모양, 혹은 버섯 모양이나 동글납작한 빈대떡처럼 딱딱하게 뭉쳐 놓은 차를 말합니다. 가장 흔한 것이 둥글고 납작한 빈대떡 형태의 차인데 흔히 병차라고 합니다. 시중에서 판매되는 많은 보이차에는 칠자병차라는 말이 새겨져 있습니다. 이는 차의 모양과 포장 운반된 모습 때문에 붙은 이름이라고 합니다.
보이차는 제다 방법에 따라 크게 생차와 숙차로 나뉩니다. 구분의 기준은 차를 완성할 당시의 발효 상태에 따라 달려 있으며 발효시키지 않은 찻잎으로 만든 차가 생차, 이미 발효된 찻잎으로 만든 것이 숙차입니다. 생차이지만 그 모양이 병차인 차를 흔히 생병이라 하고, 숙차이면서 병차인 차를 숙병이라고 합니다. 그런데 얼마전까지 이런 개념이 정립되지 않아 오래된 보이차는 무조건 숙차라는 인식이 잘못 퍼지고 있었습니다. 그러나 전통적인 보이차 제다법은 생차로 차를 만들어 장기간 보관하며 발효시키는 것입니다. 생차로 만들어진 보이차는 한두 해 정도로는 그 참맛을 느낄 수 없고 장기간에 걸쳐 제대로 보관하지 않으면 그야말로 보이차다운 차가 되지 않습니다. 만들어진 직후의 보이 생차는 맛이 떫을 뿐더러 향이나 약효 역시 오래 묵은 보이차와는 전혀 딴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사람들이 찾는 보이차는 오래 묵은 보이차일 수 밖에 없는데 그런 보이차는 당연히 수량이 한정될 수밖에 없습니다. 이 때 생산자들이 찾아는 새로운 제다법이 숙차 제다법으로, 악퇴라는 과정을 거치는 것이 특징입니다. 악퇴는 찻잎을 두텁게 쌓아 고온다습한 환경을 만들어 발효를 촉진시키는 과정으로, 이를 통해 갓 만든 차가 오래 묵은 보이차와 유사한 맛과 향을 지닌 숙차로 만들어지는 것입니다. 최소한 몇년 이상 걸리던 후발효 과정을 40일 정도의 기간에 완성시킬 수 있는 차가 바로 숙차입니다.
보이차와 관련하여 사람들이 관심을 가지는 주제중의 하나가 바로 언제 만들어진 차이냐 하는것입니다. 얼마나 오래되었는가 하는 것은 가격과 직결되며 어떻게 하면 속지 않고 좋은 차를 살 수 있는가는 차인들의 최대 관심사입니다.
보이차는 일반적으로 그 만들어진 시기에 따라서 4세대로 분류됩니다. 제1세대 보이차는 청나라 이후부터 1950년대 초반까지 생산된 것으로 주로 운남의 이무 지역에 있던 개인 상점들이 만든 것입니다. 골동보이차, 혹은 호자급 보이차로도 불리며 복원창호, 동경호, 동흥호, 송빙호, 경창호 등 생산된 가게의 이름이 붙어 있습니다. 이 호자급 보이차를 이어 1950년대 초반부터 1972년까지는 소위 인자급 보이차가 만들어졌는데 이것이 2세대 보이차로서 홍인, 남인, 녹인 등이 있습니다. 1세대와 2세대를 묶어 고대 보이차라고도 부릅니다. 1973년 이후 만들어진 보이차는 칠자병차로 상표가 통일 되었으며, 이것이 3세대 보이차 혹은 보이차 입니다. 악퇴를 이용한 현대식 숙차 제다법을 시행한 이후에 생산된 보이차들이며 7542, 8582 등의 숫자가 붙는 것이 특징입니다. 그래서 흔히 숫자급 보이차라고 합니다. 대체로 네자리 숫자로 된것이 많은데 앞의 두자리는 제품의 연도를 말합니다. 잘 알아야 할 것은 이 숫자가 구체적으로 특정 차의 생산연도를 나타내는 것은 아니라는 것입니다. 예를들어 차를 파는살마이 이 7542 보이차 드셔보세요 라고 한다고 해서 1975년 도에 생산된 차라는 뜻이 아니라 그 차의 생산방식이 1975년부터 시작되었다는 것입니다. 세번째 숫자는 해당 차의 찻잎을 섞는 비율과 관계된 것으로 말하자면 제다법을 얘기합니다. 하지만 숫자들이 구체적으로 무엇을 의미하는지는 중국 제조업자들이 비밀을 지키고 있어 알 수가 없습니다. 마지막 숫자는 그 차를 생산한 공장을 의미합니다. 1973년 이후 중국 정부는 곤명차창에 숫자 1을, 맹해차창에 숫자2를 하관차창에 숫자3을 란창차창에 숫자 4를 각각 고유번호로 부여했습니다.
최근에 불어닥친 보이차 열풍과 더불어 이제 4세대 보이차가 생산되고 있습니다. 현재 시장 유통되는 대부분은 신세대 보이차라고 할 수 있습니다.
보이차 효능
여러 방송 매체 등에서 보이차의 다이어트 효과에 대해 말하는 연구결과들은 보이차가 아닌 보이차추출물에 대한 연구 결과들이 대부분입니다. 식품 의약품 안전처에서도 마찬가지로 보이차가 아닌 보이차추출물에 대해 '체지방 감소 및 혈중 콜레스테롤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는 이중 가능성을 인정했습니다.
1. 다이어트 및 비만 개선
보이에 있는 갈릭산 성분이 지방을 분해하고 녹여 지방을 쌓이지 않게 해주기 때문에 다이어트 차로 효과가 있습니다. 지방 흡수율을 낮춰 기름기를 제거할 뿐 아니라 소화를 이롭게하여 위를 보호하는 효과도 있습니다. 따뜻한 성질이라 생강과 함께 먹으면 위장 건강에 더욱 좋습니다.
2. 혈관 건강
카테킨이란 성분이 풍부하여 콜레스테롤 분해를 촉진시키고 혈전이 생기는 것을 막습니다. 그러면서 혈압이 떨어지어 혈관 건강에 이점을 줍니다. 수족냉증이나 손발 저림이 있는 분들이 효과를 많이 볼 수 있다고 합니다.
3. 노화 방지 및 항암 효과
보이차 잎의 카테킨과 폴리페놀은 세포를 노화시키고 염증을 발생시키는 활성 산소를 없애는 항산화 물질로 유명합니다. 때문에 염증과 균을 막아 암세포의 생성을 막는데 도움을 줍니다.
*주의할 점
- 카페인이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임산부는 복용 시 유의가 필요합니다.
- 차로 마실 경우 성인 기준 하루 1L 미만으로 드시는 것이 좋습니다.
- 분말의 경우 하루 세 큰술 이하로 드셔야 합니다. (진하게 마실 경우 탈수증세 올수 있음)
- 관상 동맥증을 앓고 있는 경우 자제하여야 합니다.
'건강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미자 차, 효능 및 부작용 (0) | 2018.05.16 |
---|---|
눈에 좋다는 루테인, 무조건 많이 먹는게 좋은가? (0) | 2018.05.15 |
비타민 A 먹어야 하는 이유 (0) | 2018.05.08 |
홍차의 효능 - 미세먼지 및 노폐물 배출에 효과 (0) | 2018.05.06 |
사차인치 효능 및 먹는 방법 (0) | 2018.05.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