많은 사람들이 가끔 목에 알갱이가 끼는 증상이 발생하고 뱉고나면 대수롭지 않게 지나가고는 합니다. 환절기에다가 미세먼지까지 많아진 요즘 기관지 질환으로 고생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기관지 질환을 만성적으롱 랗고 있는 사람들 중에는 입 냄새로 고생하는 이들이 있습니다. 구강 청결을 잘 유지했는데도 냄새가 사라지지 않는다면 편도결석을 의심해 봐야합니다. 오늘은 편도결석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편도결석이란?


편도 혹은 편도선에 있는 작은 구멍들에 음식물 찌꺼기와 세균이 뭉쳐서 생기는 쌀알 크기의 작고 노란 알갱이를 말합니다. 이름에 결석이라고 붙어 있지만 대부분 돌처럼 딱딱하지는 않습니다. 치아와 혀의 상태가 깨끗한데도 입 냄새가 나며, 양치질 하면서 구역질을 심하게 할 때 쌀알 같은 것이 튀어나오는 경우 의심할 수 있습니다.


편도결석의 원인


가장 흔한 원인은 만성 편도염 입니다. 편도염을 자주 앓다 보면 편도와라고 하는 편도의 작은 구멍들이 커질 수 있습니다. 이 커진 구멍 속에 음식물 찌꺼기가 끼면 세균이 잘 번식할 수 있는 환경이 되고, 세균들이 뭉치면서 작은 알갱이를 형성하면 편도결석이 됩니다. 구강 위생이 불량하거나 비염이나 부비동염으로 인해 콧물이 목 뒤로 넘어가는 후비루가 잇는 사람은 편도에 세균이 증식하기 쉬운 조건이기 때문에 편도결석이 잘 생깁니다.

편도결석 자체는 건강으 큰 악영향을 주지는 않지만 입냄새의 원인이 되기 때문에 제거하는 것이 좋습니다. 편도결석은 부패한 음식물 찌꺼기와 세균의 결합체인 만큼 심각한 악취를 유발합니다. 냄새뿐만 아니라 편도결석이 편도 구멍에서 살짝 빠져나오면 목에서 이물감 등의 불편함을 느끼게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편도결석의 증상


별 증상이 없이 지낼 수도 있으나 주로 입 냄새가 나고, 양치질하다가 입에서 쌀알 같은 노란 알갱이가 나오기도 합니다. 목이 아프거나 침 사밀 때 목에 뭔가 걸린 것 같은 느낌 혹은 간질간질하거나 귀가 아픈 느낌이 생길 수 있습니다.


편도결석의 진단


이비인후과에서 구강 검진을 받으면 목젖 양 옆 편도에 낀 노란 알갱이가 발견됩니다. 편도염의 소견이 동반될 수도 있습니다.


편도결석의 검사


구강 및 인두를 진츨하고 인후두 내시경 검사를 시행합니다.


편도결석의 치료


편도결석은 저절로 나오기도 하며 흡인 등으로 제거하는 치료를 할 수 있는데,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나면 다시 생길 수도 있습니다. 레이저나 질산은 같은 약물로 편도에 있는 구멍을 막는 치료를 하기도 하지만, 편도 자체를 없애는 편도절제술이 가장 확실한 방법입니다. 편도결석이 있다고 모두 편도절제술을 시행할 필요는 없고, 수술의 효과와 합병증의 위험을 고려하여야 합니다. 한해 동안 항생제 치료가 필요한 편도염을 5~6회 이상 앓았거나, 매년 3회 이상 편도염을 앓고 있는 경우에는 편도절제술을 시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편도결석의 경과 및 합병증


입냄새와 이물감이 주된 증상이며, 그냥 놔둬어도 다른 신체 부위의 결석과 달리 심각한 문제를 일으키지 않습니다.


편도결석의 예방방법


편도염이 생겼을 때 제대로 잘 치료하는 것이 중요하며, 입안에 세균이 잘 번식하지 않도록 청결하게 유지합니다. 평소에 물을 자주 마시고 식사 후에는 양치질을 잘 하여야 합니다. 편도결석이 잘 생기는 경우에는 양치 후 항균 성분이 있는 가글액으로 입안을 헹구면 편도결석의 재발을 줄일 수 있습니다.


편도결석의 생활 가이드


평소에 칫솔질, 가글 등을 시행하여 평소에 구강위생을 청결히 하여야 합니다. 또한 평소에 물을 많이 마시는것이 중요합니다. 편도결석이라는 것은 음식물 찌꺼기가 모여서 쌓인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평소에 물을 많이 마시는 사람들은 이 노폐물이 입 안에서 쉽게 머무는데 어려움이 있습니다.



* 주의사항 : 재채기를 하거나 양치질을 하다가 자신도 모르게 편도결석이 빠져나오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런 경험 때문에 만성적으로 편도결석이 생기는 사람들은 혼자서 헛구역질을 하거나 손가락 등을 목에 집어넣어서 편도결석을 빼려고 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잘 빠지지 않고 편도에 상처를 내서 출혈을 야기할 수 있습니다.

+ Recent posts